호주의 역사 2 / 정치제도
선거
호주는 투표가 의무 이기때문에 반드시 해야하는 절차이다. 90%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며 만약 투표를 하지 않을시 벌금 20달러가 부과된다.
선거명부를 관할하는 곳은 AEC(Australian Electoral Commision)
정치
호주는 연방정부, 주정부, 테리토리 정부에 권력이 분산되어있다.아직 영국의 연방국가로 빅토리아 여왕을 대신해서 총독이 호주를 통치하고 있다.
국가형태: 입헌군주제; 실은 의원내각제 /
임기: 연방정부3년에 한번씩 선거가 이루워진다. (총 3번, 9년까지 통치 가능)
주정부 :6개주 2개 테리토리 수반을 주수상상(premier) / 짝수 년도에 선거 4/8년 에 이루워진다
지역정부: 약 700개 지역정부; 수석장관(chief minister)
호주 총리
스콧 모리슨 (2019년 5월 총선에서 보수 집권당 승리) / 출구조사에서는 노동당이 주도했으나 실제 투표로는 자유당이 집권하게 되었다.
자유당에서도 강경파로 분류되고, 반이민주의자로, 강력한 국경 통제정책을 펼피면 난민과 불법체류자에 대해서 관용이 없는 사람으로 평가된다.
호주 정당
호주는 크게 자유당과 노동당으로 이루워지는 2019년 기준으로 선거 전략들이.
자유당 (Liberal)
- 주로 지지칭은 도시의 사는 중산층이다.
- 보수 정당으로 중도우파에 속한다
- 경제부분에 있어서 소득세 30% 인하 정책을 내걸었다
- 난민문제: 수용소에 수감, 되돌려보내기
- 이민 16만명에서 18760으로 축소
노동당(Labor)
- 저임금자, 도시의 노동자들의 지지를 받는다
- 중도 좌파/진보
- 경제에 있어서는 최저임금 관련하여 인상을 정책 내걸었으며,고속득자에 과세 정책을 내걸었다.
- 원주민의 치료를 확대
- 이민 부모 15000개 폐지와 다른 비자카데고리 만들었다.
- 기술이민 비자 카데고리 만듬
호주 국회
영국 의원내각제+미국의 대통령제를 혼합(상, 하원으로 분리된다)
하원 Lower House
-임기 3년(인구 비례선거)
-150명의 로 구성 .소선거수, 선호 투표제
상원Upper House
-임기 6년
-3년마다 절반서출 주별로 12명씩 선출,대선거구, 비례투표제
-6개주에서 각 12명 , 각2명의 상원의원 선출하며 76명의 상원의원을 구성한다.
(한번에 모든 상원의원에 교체되는것은 아니며 3년마다 치러지는 연방총선 절차로 28명의 선출되어 새로운 임기 6년을 시작한다)
'Australia's everyt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비자 종류, tss 워킹 비자 (0) | 2019.10.04 |
---|---|
호주 멜버른 대중교통 카드 MYki (0) | 2019.10.03 |
호주 시드니 대중교통 카드 OPAL (0) | 2019.10.02 |
호주의 주요 도시 / 시드니, 멜버른 (0) | 2019.10.01 |
호주의 역사1 / 호주의 탄생 (0) | 2019.09.25 |